바닥부터 천천히

menu-opener icon
  • 홈
  • 태그
  • 방명록

스터디/데이터베이스

[이론] 트랜잭션 격리 수준 ( Transaction Isolation Level )

트랜잭션 격리 수준 (Isolation Level) 트랜잭션은 ACID 속성을 보장해야합니다. 그 중 I 에 해당하는 Isolation은 트랜잭션의 고립성을 의미하고, 고립성은 서로 다른 트랜잭션은 서로 영향을 미치지 말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 고립성은 동시성과 충돌할 수 밖에 없는 속성입니다. 고립성 수준, 다시말해 격리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동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고립성 수준을 낮추게 된다면 ACID의 C, Consistency인 일관성, 즉 데이터의 무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비스를 운영할 때 서비스의 성격에 알맞는 격리 수준을 선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서비스와 1:1로 대응해가며 설명을 하면 좋겠지만,,, 그 정도의 경험이 있지도 않거니..

2019.10.02 게시됨

1

공지사항

최근글

인기글

최근 작성된 댓글

태그 클라우드

  • 이펙티브 자바
  • 이펙티브코틀린
  • jpa
  • 회고
  • 코드리뷰
  • 프로그래머스
  • programmers
  • 아이템2
  • 자바
  • 이펙티브자바
  • 우아한테크코스
  • localstack
  • 아이템3
  • 아이템7
  • Algorithm
  • 알고리즘
  • 코틀린
  • 아이템4
  • dfs
  • Spring
  • 이펙티브 코틀린
  • java
  • springboot
  • 스프링부트
  • 테스트코드
  • 아이템5
  • effectivejava
  • 우아한형제들
  • 이펙티브
  • 아이템6
Copyright . 베이스캠프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베이스캠프
닫기 아이콘
사이드 프로필 배경이미지
아바타 이미지

ds_chanin

스스로 공부한 내용 다른 사람에게 배운 내용 하나씩 하나씩 정리하기!

  • 분류 전체보기 (89)
    • 스터디 (75)
      • 스프링 (6)
      • Kotlin (3)
      • 코드리뷰 (8)
      • 클린코드 (7)
      • 인프라 (2)
      • JPA (7)
      • 데이터베이스 (2)
      • 네트워크 (2)
      • 이펙티브코틀린 (22)
      • 이펙티브자바 (7)
      • 알고리즘 (7)
      • 세미나 기록 (1)
    • 생각 (14)
      • 회고 (13)
      • 기타 (1)

전체

오늘

어제

Designed by 베이스캠프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