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에서 properties 값 주입받기

ds_chanin

·

2020. 10. 15. 17:51


개요

Spring Boot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다 보면 외부에서 특정 값들을 주입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AWS의 특정 컴포넌트를 사용하기 위한 secret key가 될 수도 있고 외부 API를 사용하기 위한 API key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값들을 소스 코드에 하드 코딩한다면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사람이 값을 탈취하여 사용하면서 큰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중요한 값들을 application.properties 혹은 application.yml 과 같은 외부 설정값을 관리하는 파일에 적어두고 사용하기도 하고 .jar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커맨드에서 직접 값을 넘겨주기도 합니다.

이번 글은 Spring Boot에서 외부 파일(ex.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yml)에 있는 값들을 소스 코드에 주입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예제로 사용된 코드는 Github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properties vs .yml

글에서는 application.yml을 사용할 것이기에 application.propertiesapplication.yml의 차이를 가볍게 짚고 넘어가고자 하겠습니다.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resources 디렉토리에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이 생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을 그대로 이용해도 문제는 없지만 .yml을 이용하는 것보다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만약 .properties 로 설정을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면

spring.datasource.hikari.driver-class-name=org.mariadb.jdbc.Driver
spring.datasource.hikari.jdbc-url=jdbc:mariadb://localhost:3306/testdb
spring.datasource.hikari.username=root
spring.datasource.hikari.password=root

spring.datasource.jpa.properties.hibernate.dialect=org.hibernate.dialect.MySQL5InnoDBDialect
spring.datasource.jpa.properties.hibernate.format_sql=true

spring.datasource.jpa.show-sql=true
spring.datasource.jpa.generate-ddl=true

.yml은 다음과 같이 표현이 가능해집니다.

spring:
  datasource:
    hikari:
      driver-class-name: org.mariadb.jdbc.Driver
      jdbc-url: jdbc:mariadb://localhost:3306/testdb
      username: root
      password: root
    jpa:
      properties:
        hibernate:
          dialect: org.hibernate.dialect.MySQL5InnoDBDialect
          format_sql: true
      show-sql: true
      generate-ddl: true

.yml을 이용함으로써 계층 구조로 설정값을 표현할 수 있고 prefix의 중복 제거가 가능해집니다.

참고로 .yml 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SnakeYAML 라이브러리가 classpath에 존재해야 합니다. spring-boot-starter 의존성은 이 라이브러리를 기본적으로 제공해줍니다.

@Value

가장 간단하게 값을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사용 방법은 @Value 어노테이션에 값을 가리키고 있는 placeholder를 명시해주거나 SpEL을 명시해주면 됩니다.

아래와 같은 application.yml이 정의된 상태에서 진행하겠습니다.

external:
  record-year: 2020
  api:
    name: kakao
    key: 123123

placeholder 방식

${app.name}와 같이 ${} 내부에 값의 위치를 적어서 @Value에 값을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Service
public class ExternalService {
    @Value("${external.record-year}")
    private String recordYear;
  
    @Value("${external.api.name}")
    private String apiName;
  
    @Value("${external.api.key}")
    private Integer apiKey;
}

위와 같이 external아래에 record-year로 설정된 값을 사용하기 위해 ${external.record-year}@Value에 명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해서 String, Integer 등의 타입 값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테스트 코드입니다.

@SpringBootTest
class External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ExternalService externalService;

    @DisplayName("@Value 를 이용한 properties bind")
    @Test
    void valueBindTest() {
        assertThat(externalService.getRecordYear()).isEqualTo("2020");
        assertThat(externalService.getApiKey()).isEqualTo(123123);
        assertThat(externalService.getApiName()).isEqualTo("kakao");
    }
}

SpEL 방식

SpEL 은 Spring Expression Language의 약자입니다. Spring에서 제공하는 특수한 표현 식으로 이러한 표현 식을 이용해 @Value에 값을 주입할 수 있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SpELTest {

    @Value("#{1 eq 1}")
    private boolean spelBoolean;

    @Value("#{externalService.apiName eq 'kakao'}")
    private String spelNameString;

    @Test
    void spelTest() {
        assertThat(spelBoolean).isTrue();
        assertThat(spelNameString).isEqualTo("true");
    }
}

#{} 내부에 표현 식을 작성하여 사용합니다. placeholder 방식과 다르게 다른 Spring Bean을 참조해서 값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ex. @Value("#{externalService eq 'chan'}"))

여기서 SpEL 에 대해 자세히 다루면 내용이 너무 많아 글의 목적이 흐려지기 때문에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문제점

@Value 방식에는 안타깝게도 문제점이 있습니다.

위 예제에서 true 값이 String으로도 Boolean으로도 사용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시한번 코드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타입 안정성

아래와 같은 application.yml이 있고 개발자는 이 값을 boolean으로 사용하길 바랬다고 가정하겠습니다.

external:
  value: true

그리고 아래 테스트 코드는 성공을 합니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ValueProblemTest {
    @Value("${external.value}")
    private String stringValue;

    @Value("${external.value}")
    private boolean booelanValue;

    @Test
    void problemTest() {
        assertThat(stringValue).isEqualTo("true");
        assertThat(booelanValue).isEqualTo(true);
    }
}

보이는 것과 같이 똑같은 값을 String으로도 boolean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게 어떤 문제가 되는 것일까요?

.yml에 설정해둔 값을 서로 다른 클래스에서 @Value를 이용해서 산발적으로 사용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설정값을 boolean으로 가져다 쓴다면 다행이지만 모든 개발자가 String으로 불러다 쓰는 실수하지 않을 거라는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지금은 단순히 true이지만 숫자가 연속된 형태의 값(ex.342462351)이라면 이 값을 숫자로 인지할지 문자열로 인지할지 모르게 됩니다. 결국 타입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기가 힘들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onfigurationProperties

이번에는 타입 안정성을 가지는 방법을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방법은 클래스를 정의해 놓고 값을 주입해서 사용합니다.

예제 코드로 알아보겠습니다.

external:
  record-year: 2020
  api:
    name: kakao
    key: 123123

위와 같은 application.yml이 있을 때

@Getter
@Setter
@Configuration
@ConfigurationProperties("external")
public class TypeSafeProperties {
    private String recordYear;
    private Api api;

    @Getter
    @Setter
    public static class Api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eger key;
    }
}

위와 같이 Properties 클래스를 정의해서 사용합니다.

@ConfigurationPropertiesvalue로 prefix를 적어줘야 합니다. 중첩 클래스(ex. Api)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이름을 똑같이 일치시켜줘야 하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한가지 더 주의해야 할 점은 setter를 반드시 정의해주어야 합니다. setter가 없다면 Caused by: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No setter found for property 이 발생하게 됩니다.

@Value 도 똑같이 할수 있지 않나?

똑같이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완성된 코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사용했던 application.yml 의 external 값들을 사용했습니다.

@G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Configuration
public class ExternalProperties {
    @Value("${external.record-year}")
    private String recordYear;
    private final Api api;

    @Getter
    @Configuration
    public static class Api {
        @Value("${external.api.name}")
        private String apiName;
        @Value("${external.api.key}")
        private Integer apiKey;
    }
}

@Value에 계속에서 중복된 값(external.api)을 적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중첩 클래스를 Bean으로 생성해서 의존성 주입을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Value에서는 Snake case로 작성된 값들을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적어줘야 했지만 @ConfigurationProperites를 사용하면 Camel case로 작성한 변수를 찾아 주입해줍니다.

문제점

불변성

@Value@ConfigurationProperties 두 방식 모두 공통으로 불변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문제는 final 한 필드로 인스턴스 변수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불변성을 유지할 수가 없습니다. 심지어 @ConfigurationProperties은 개발자 입장에서 불필요한 setter가 공개되어 있어 중간에 값이 변경될 위험성이 크게 남아있습니다.

@ConstructorBinding

이전에는 불변성을 지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Spring Boot 2.3 버전 이후 생성자 주입방식으로 불변성을 가지고 Properties 파일을 만들 수 있는 방식이 추가되었습니다.

@ConstructorBinding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final 필드에 대해 값을 주입해줍니다. 그리고 중첩 클래스가 있다면 자동으로 중첩 클래스의 final 필드 또한 자동으로 값을 주입하는 대상이 됩니다.

final 키워드를 명시하지 않는다면 setter를 이용해서 값을 binding 하려하기 때문에 setter가 없다는 exception이 발생합니다.

@G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ConstructorBinding
@ConfigurationProperties("external")
public final class ConstructorProperties {
    private final String recordYear;
    private final Api api;

    @G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static final class Api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Integer key;
    }
}

다만 이 방식을 사용하면 Properties 클래스에 직접적으로 @Configuration을 이용해서 직접적으로 Spring Bean으로 만들어 주지 않습니다.

대신 아래와 같이 PropertiesConfiguration 클래스에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을 이용해서 생성할 Properties 클래스의 클래스 타입을 명시해주면 됩니다.

@Configuration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value = {ConstructorProperties.class})
public class PropertiesConfiguration {
}

이렇게 @ConstructorBinding 어노테이션을 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setter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불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정리

@Value를 사용하여 값을 주입하는 방식과 @ConfigurationProperties를 이용해서 외부 설정 파일에 존재하는 값을 주입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Value@ConfigurationProperties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한 차이는 Spring Boot 공식 문서에서 잘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전부 다루기에는 글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가장 눈에 띄는 차이에 대해서 몇가지 알아봤습니다.

가급적이면 불변성을 유지할 수 있는 @ConfigurationProperties@ConstructorBinding 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아 보이지만 Spring Batch를 사용하면 Late Binding을 위해 @Value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언제나 그렇듯 상황에 따라 알맞게 적절한 어노테이션을 선택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spring-boot-features.html#boot-features-external-config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spring-boot-features.html#boot-features-external-config-yaml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spring-boot-features.html#boot-features-external-config-typesafe-configuration-properties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3.2.x/spring-framework-reference/html/expressions.html